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인천광역시 국토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청운대학교 인천 제2캠퍼스 신설 이전반대
충청남도 16개 시군의회 의원 탄원서
최근 인천광역시에서는 인천대학교가 빠져나간 도화개발지구의 구도심 공동화를 방지하기 위해 행정타운 계획을 구상했다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홍성군에 있는 청운대학교의 제2캠퍼스(기존 10개 학과 이전)를 유치하겠다고 나섰다. 홍성에 있는 청운대학교의 총정원 6천명 중 1/3인 학생 2천명을 유치하면 주변상가의 상권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이유에서이다.
인천시는 옛 인천대 본관과 주변 부지 5만7천500㎡를 소유자 인천도시개발공사로부터 받은 내용의 “공유재산관리계획 제5차 변경계획안”을 인천시의회에 제출하고 인천도시개발공사와 체결한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 실시협약”에 따라 인천대 본관 부지 2만6천583㎡를 무상으로 받게된다. 나머지 주변 부지 3만917㎡는 도화구역 사업이 끝난 뒤 함께 정산할 예정이다. 이후 인천시는 건물과 부지를 학교용지로 감정받은 뒤 경쟁 입찰방식으로 청운대학교에 매각할 계획으로 있다.
이 처사에 홍성군민들 모두 분노하고 소외된 지역이란 마음에 서글퍼하고 있다.
그동안 청운대학교 인천 제2캠퍼스 신설계획과 관련하여 홍성군의회에서는 2011. 7. 11일 이전반대 대책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2011. 7. 19일 인천시와 인천시의회를 방문하여 청운대학교 제2캠퍼스 신설은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만 살고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방도시는 죽이는 결과로 국토균형발전에도 정면 배치된 행위이며, 청운대학교 이전 시 대학주변 경제의 어려움은 물론, 홍성경제의 큰 타격이 예상됨에 따라 이전의 부당성과 인천 도화지구 이전 중단을 강력히 촉구한바 있다.
또한, 2011. 7. 21일 홍성군수는 청운대학교 총장에게 “청운대학교 제2캠퍼스 관련 이전 방침 재검토” 건의서를 전달하였으며 2011. 10. 11일 인천지역 신문에 청운대학교 이전을 반대하는 호소광고를 실시하고 2011. 10. 21일 정치권에서 홍성군민의 뜻을 헤아려 줄 수 있도록 민주당 대표께 호소문을 송부하는 등 이전반대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으나 아직도 청운대학교 인천 제2캠퍼스 신설이 추진되고 있다.
과거 어느 정권보다 국토균형발전을 외치고 세종시 법안을 만들어 낸 노무현 정권의 실세였던 송영길 인천광역시장이 이와 같은 일을 벌이는 것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자신의 핵심정책이 바로 “국토균형발전”이라고 역설하고 균형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지방대학에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런데, 홍성군의 소중한 지방대학을 수도권으로 다시 옮기는 시도는 말 그대로 국토균형발전 정책을 정면으로 위배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래 충남도 16개 시군의회 의장 및 의원 일동은 인천광역시의 국토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청운대 제2캠퍼스 유치를 규탄하며 이전계획 철회를 강력히 촉구하며 붙임와 같이 서명한다.
2011. 12. .
충청남도 16개 시군의회 의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