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흡입독성시험관련 2건 성공, 국제규제에 선제적 대응
나노기술이 미래 첨단산업 발전의 핵심요소임에도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안전성에 대한 논란으로 나노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가운데, 지식경제부는 우리나라가 개발한 나노안전성 평가기술 2건이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화기구 나노기술위원회(ISO/TC229)의 국제표준으로 승인되었다고 밝혔다.
최근 나노물질의 환경, 건강,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글로벌 이슈로 대두되어, 미국.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나노물질 사용에 대한 규제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 나노기술시장(‘15년, 약 3조달러 규모)에서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15%(약 2,300억불)점유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나노 안전성이 무역장벽화되는 경우 목표달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국제표준에 성공한 이 기술은 나노물질의 주요 노출경로인 호흡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흡입독성시험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으로 업계의 원천기술을 기반으로한 기술개발, 학계의 이론적 뒷받침, 정부의 사업지원과 국제표준 외교활동 등 산.학.관 협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우리나라 개발 기술이 국제표준에 성공함으로써 그동안 전적으로 외국의 측정장비에 의존했던 천억원대 국내시장의 흡입독성 평가 장비가 국산장비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미 외국 관련기관에서 구매타진이 있는 등 수출의 길도 열릴 예정이다.
또한 나노물질 사용에 대하여 미국 환경청(EPA)이나 EU의 REACH에서도 흡입독성시험(20억 이상 소요)자료를 반드시 요구하고 있어 안전성 평가를 국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향후에도 정부에서는 세계 4위의 나노기술 강국에 걸맞는 나노분야 안전성 평가기술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융합시스템표준으로 연계한 나노융합산업 촉진으로 나노분야의 세계시장을 선점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