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울산동구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가맹점 4개소 추가 지정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치매안심센터(센터장 박수환)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관내 치매 안심 가맹점 4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치매 안심 가맹점은 약국, 미용실, 카페 등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업소로, 종사자 대상 치매 파트너 교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와 ...
‘실내 베란다에서 시원한 바람과 햇볕을 마음껏 쪼이게 하고 근친을 금지하며 새끼들만의 먹이 공간을 만들어줘 건강하게 키운다.’
사람 사는 얘기가 아니다. 과학적인 축사시설을 갖춰 복지를 배려하는 가축 사육으로 고수익을 올리고 있는 흑염소 사육농가가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과학적인 축사시설이란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전라남도의 지원을 이끌어내 신안 지도읍 내양리에서 흑염소를 사육하는 박현석(65)씨.
박씨는 지난 1996년 사육이 쉽고 적은 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다는 생각에 흑염소 사육을 시작했다. 하지만 호흡기 질병과 설사로 폐사하는 염소가 많고 특히 장마철엔 사육을 포기하고 싶을 정도로 많은 염소가 죽어나갔다.
고심 끝에 염소도 사람이 사는 아파트처럼 해주면 되지 않을까 하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축사를 설계, 전남도의 지원을 받아 3m 높이 공중에 축사를 설치하고 바닥은 철망을 깔아 분뇨가 자동으로 빠지도록 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했다. 병원균이 서식하려면 습도?양분?온도가 갖춰져야 하는데 가축이 분뇨를 배출하는 순간 3m아래로 떨어지므로 자동적으로 질병이 차단된다. 베란다를 설치해 바람과 햇볕도 쬘 수 있도록 했다.
방목장도 있다. 하지만 무작정 야산에 방목하는 것이 아니다. 가장 잘 자라면서 영양가가 높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심어 매일 오후 3시 이슬과 초지의 흙이 완전히 마른 상태에서만 일정한 시간동안 계획방목을 실시한다. 흑염소는 습기가 있는 곳에서 질병에 약하고 오랜 시간 방목시 근친교배로 품종이 망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염소에서 나오는 축분은 1년간 모아뒀다가 고스란히 초지로 되돌려 준다. 자연순환농업의 실천인 셈이다.
축사 50평 1칸에 염소 암컷 50마리, 수컷 1마리를 넣어주면 스스로 자연교배로 새끼가 태어나며 생후 3개월이 되면 수컷은 따로 모아 거세한 후 비육하고 암컷은 따로 모아 50마리씩 새로운 칸에 이주시키고 새로운 수컷 1마리를 넣어준다.
분만을 마친 암컷은 새끼와 함께 별도 양육칸으로 이동, 10마리 정도의 산모가 함께 새끼염소를 10일간 키울 수 있도록 배려한다. 새끼만 드나들 수 있는 공간에 새끼 전용사료를 줌으로써 산모와 새끼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사육한 흑염소의 폐사율은 0%다. 과거 새끼가 어미로 자랄 때까지 절반을 살리기도 어려웠던 때와 비교하면 놀라운 성과로 전국에서 대형버스로 견학을 올 정도다. 630평의 축사에서 연간 600여마리를 출하해 8천만원의 순이익을 거두고 있다.
박씨는 “과학적인 축사와 계획방목으로 연간 8천만원 이상의 순수익을 올리고 있다”며 “염소는 순하고 무리지어서 사는 것을 좋아해 노인들이나 도시에서 직장을 잡지 못한 젊은이들이 귀향해서 손쉽게 사육할 수 있고 단 1명의 노동력으로 1천마리는 거뜬히 사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안병선 전남도 축정과장은 “전남은 염소 사육을 전국에서 제일 많이 할 뿐만 아니라 염소고기 소비도 제일 많은 곳”이라며 “흑염소 농가의 조직화로 품질의 고급화와 전국 브랜화를 추진하는 한편 도축장과 가공공장을 유치하는 등 전국 제일의 흑염소 산업으로 육성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