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대책안 수립…2015년까지 전국 생산량 40% 목표-
‘저탄소 녹색성장은 녹색의 땅 전남도가 선도한다.’ 전라남도는 24일 높은 일사량과 해상풍력, 조류 등 자연조건을 십분 활용해 신재생에너지 메카로 육성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취한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대책안’을 수립 발표했다. 전남도가 이날 발표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취한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대책에 따르면 오는 2015년까지 13조원을 투자해 전국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의 40%를 생산하고 핵심부품업체 200개사를 육성, 16조2천억원 상당의 부가가치 및 2만여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키로 했다. 이는 최근 초고유가 시대가 도래하고 지구 온난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강화하는 한편 중앙정부가 ‘저탄소녹색성장’을 선언하는 추세 속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용이 미래발전을 위한 필수요소로 자리잡은데 따른 것이다. 특히 전남도는 어느 지역 보다도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좋은 자연적 조건을 갖추고 있어 이를 최대한 활용해 신재생에너지 메카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전남지역 일사량은 평균 3천300Kcal로 전국 평균(3천Kcal)보다 높아 태양광발전 최적지로 꼽힌다. 또 해상에서 불어오는 양질의 바람과 2천개의 도서를 낀 6천500여km의 해안에는 끊임없는 조류가 흘러 해상풍력과 조류발전이 가능한 유일한 지역이다. 뿐만 아니라 전국 제1의 농축산도로써 농축산 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사업을 하기 위한 자원도 풍부하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박준영 도지사 취임 이후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적극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해왔고 그 결과 전국 생산량(522만5천TOE)의 약 28%인 148만1천TOE에 상당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생산, 전국 제일의 신재생에너지 메카로써 그 위상을 굳혀왔다. 이를 발판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지역 발전을 위한 성장동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기 위해 ▲지역 여건에 맞는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 ▲부품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조성 및 보급 강화 ▲세계 최고의 R&D 능력 확충 및 국제교류 활성화 등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벨트의 경우 오는 2015년까지 6조9천67억원을 투입해 1천16MW(포스코건설, 중부발전 등)급 풍력발전을 건설하는 것을 비롯해 2조7천100억원을 들여 751MW(동서발전, 중부발전)급 조류발전, 1조8천450억원을 들여 246MW(458개기업)급 태양광발전단지 등 총 2천71MW 대규모 발전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부품소재산업 육성과 관련해선 대불공단 등 3곳에 신재생에너지 전용단지를 개발하는 것을 비롯 관련기업 육성을 위한 투자펀드 조성, 서남권청정에너지기술연구원과 특성화대학원 등을 중심으로 R&D 지원 및 인력 양성, 태양광 부품 소재연구센터 건립 등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R&D 능력 확충 및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해선 서남권청정에너지기술연구원 및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유치하고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공동연구 및 연구소 설립 등을 추진한다. 양복완 전남도 경제과학국장은 “신재생에너지 메카 육성을 위한 구체적 실천대책을 연내에 수립해 향후 광역권개발계획이나 남해안선벨트 사업의 핵심사업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나갈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관련 지역역량을 결집하고 친환경 지역개발을 위한 제도화로 남악신도시는 선시티로 나주혁신도시는 에너지생태도시로, 기업도시는 탄소제로도시로 각각 개발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