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대전 지하철 1호선 1단계(판암역~정부대전청사역)개통과 함께 본격적인 지하철 시대가 개막됐다. 대전시는 16일 지하철 1호선 1단계 판암역에서 정부대전청사역에 이르는 12. 4km 구간 개통식을 갖고 본격 운행에 들어간다. 이로써 대전은 서울과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에 이어 여섯번째로 도시철도를 운행하는 대도시가 됐다.1996년 10월 착공식을 갖고 1호선 건설공사를 시작한지 딱 10 년만이다. 대전시는 동구 판암동에서 유성구 외삼동간 22.6km를 1호선 구간으로 지정, 먼저 1단계 구간을 개통하게 됐다. 둔산동에서 판암동까지 승용차로 40분 이상 소요되던 시간이 사실상 지하철 개통과 함께 20여분 단축됐다. 16일 오전 10시 반부터 시청남문 광장에서는 화려한 지하철 개통 기념식이 열린다. ‘탄생’을 주제로 대전시립무용단과 전통타악그룹 ‘굿’ 공연이 화려한 개막을 알리고 도시철도 건설과정 영상물 상영 및 연예인 축하 메시지 전달, 까치모형 고무풍선 날리기 등 다양한 기념 행사가 펼쳐질 예정이다. 12시에는 대전시 초청인사 및 일반시민 540여 명이 시승행사를 갖고 오후 3시부터 본격 운행에 들어간다. 지하철은 새벽 5시 반 부터 밤 12시까지 하루 248차례 운행한다. 출근시간은 5분, 그 외는 8~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210회로 줄어든다. 지하철을 이용할 시민은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지하철 승차권을 구입하면 1구간(10㎞) 기준으로 900원,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800원이다. 또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지하철에서 시내버스로 갈아타면(1시간 이내) 450원만 추가하면 된다. 시내버스에서 지하철로 환승해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교통카드 없이 각각 승차권을 사용하면 1,800원이 든다. 특히 좌석버스(1,250원)를 이용한 뒤 지하철로 갈아타면 무료다. 만65세 이상과 장애인은 신분증을 제시하면 무료로 승차권을 받을 수 있다. 승차권은 둥근 플라스틱 토큰형이다. 개찰구를 통과할 때 교통카드처럼 토큰을 인식기에 대면 된다. 대전지하철의 가장 큰 특징은 안전성과 쾌적성에 있다. 지하철내 추락사고 및 자살방지를 위해 모든 역에 스크린 도어를 설치했다. 스크린 도어는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안전장치로 풍압으로 밀려오는 미세한 먼지와 소음까지 차단해 주는 기능을 한다. 또, 국내 최초로 전동차와 정거장 내장재에 섭씨 700도의 고열에도 견디는 불연재를 채택, 화염.독성가스 유입 등 피해를 최소화해 대구지하철 참사같은 대형 화제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종합관제실과 운전실, 신호실, 관리역에서 전동차 운행 정보를 모두 공유해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2중 3중의 감시시스템을 구축해 만약의 긴급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장애인용 개.집표기,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 블록 및 핸드레일 촉지판, 음향유도기, 휠체어 전용 승하차 표시판 등 장애인, 노약자를 위한 편의시설도 잘 갖춰져있다. 객차마다 LCD 승객안내 표시기를 2세트씩 설치해 뉴스와 증권정보, 일기예보 등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