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 한파 예고…중부·내륙 영하권, 강원 산지 ‘첫 한파주의보’ 가능성
이번 주 초의 강추위는 다음 주 본격적인 한파의 ‘예고편’으로, 11월 초 입동을 앞두고 기온이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26일부터 북서쪽에서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며 찬 공기가 한반도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27~28일에는 중부지방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올가을 들어 가장 강한 추위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아침 ...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쌀은 대표적인 과잉생산 품목.
정부는 해마다 남는 쌀을 사들여 쌀값이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조절한다.
지난해에는 63만 톤.
전체 쌀 생산량의 17% 넘게 매입했다.
문제는 정부의 쌀 생산 예측이 빗나갔다.
정부는 지난해 쌀 생산량이 소비량보다 12만 8천 톤가량 많을 걸로 예상했지만 실제 생산량은 훨씬 적어 과잉생산은 5만 6천 톤에 그쳤다.
정부는 지난주부터 '대여' 방식으로 쌀 3만 톤을 시장에 풀고 있다.
일시적인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지만, 수확기를 앞두고 쌀값이 폭락할까, 시장 공급량을 대폭 늘리기도 쉽지 않다.
햅쌀이 본격적으로 출하돼도 햅쌀 가격은 묵은쌀보다 높아 당분간 쌀값 강세는 이어질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