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뉴스21/이경재 본부장) 2017년 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6.5%, 10년 전에 비해 5.7%p 하락했고, 2017년 총 이동자 중 시도내 이동은 55.1%, 시도간 전입은 21.3%, 시도간 전출은 23.7% 차지하고, 최근 10년 간 연평균이동자 수는 356,274명으로 나타났다.
2017년 타시도에서 전북으로 전입은 경기(16,612명, 25.7%), 서울(13,179명, 20.4%) 순이었으며, 10년 전에도 경기(27.9%), 서울(23.0%)순이었다.
2017년 전북에서 타시도로 전출은 경기(18,075명, 25.1%), 서울(14,930명, 20.8%)순이었으며, 10년 전에도 경기(27.7%), 서울(25.4%)순이었다.
2017년 30대 이하는 순유출되었고, 40대 이상은 순유입되었다. 최근 10년 간 20대 연령층은 지속적으로 순유출되었고, 40~50대는 지속적인 순유입되었다.
2017년 전북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은 3,228명이며, 20대가 매년 지속적인 순유출을 보인 반면, 40~50대는 순유입되었다. 2017년 광주․전남에서 전북으로 순유입은 47명으로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순유입을 보인다.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17년 전북 이동자 수는 303,962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26.4% 감소하고, 10년 간 연평균이동자수는 356,274명으로 나타난다.
2017년 총 이동자 중 시도내 이동은 55.1%(167,338명), 시도간 전입은 21.3%(64,709명), 시도간 전출은 23.7%(71,915명)을 차지한다.
2017년 이동률(인구 1백명 당 이동자 수)은 16.5%, 10년 전에 비해 5.7%p 하락했다.
(이동률: ‘08년(22.2%)→‘10년(20.8%)→‘15년(17.9%)→‘16년(17.2%)→‘17년(16.5%), 최근 10년 간 이동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
2017년 시도내 이동률은 9.1%, 시도간 전입 3.5%, 시도간 전출 3.9%로 10년 전에 비해 각각 3.9%p, 0.8%p, 1.0%p 감소했다.
▲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 시도내․시도간 이동률 추이2. 전입 및 전출
2017년 타시도에서 전북으로 전입은 경기지역(16,612명, 25.7%)이 가장 많았고, 서울(13,179명, 20.4%), 전남(5,893명, 9.1%)순으로 전체 55.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10년 전 타시도에서 전북으로 전입은 경기(27.9%), 서울(23.0%), 충남(8.4%)순으로 전체 59.2%를 차지하였고, 10년 간 연평균 전입인구는 72,728명으로 나타난다.
2017년 전북에서 타시도로 전출은 경기지역(18,075명, 25.1%)이 가장 많았고, 서울(14,930명, 20.8%), 충남(6,156명, 8.6%)순으로 전체 54.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10년 전 전북에서 타시도로 전출도 경기(27.7%), 서울(25.4%), 충남(8.1%)순으로 전체 61.2%를 차지하였고, 10년 간 연평균 전출인구는 76,587명으로 나타난다.
2017년 전북에서의 시도별 순유출 인구는 7,206명으로 서울 (1,751명), 경기(1,463명), 대전(977명)순이었고. 10년 전에 전북에서의 시도별 순유출 인구는 10,550명으로 서울(4,622명), 경기(2,777명), 광주(1,002명)순으로 나타난다.
▲ 전북으로 전입인구
▲ 전북에서 전출인구3. 성별 순이동 인구
2007년 이후 전북 성별 순이동인구는 2011년을 제외하고 남녀 모두 순유출이 높았으며, 2016년 이후 여자의 순유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성별 남자 순유출 3,376명(46.8%)이고, 여자 순유출 3,830명(53.2%)으로 나타났고, 10년 전은 남자 순유출 4,314명(40.9%), 여자 순유출 6,236명(59.1%)으로 여자 순유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의 경우 남자의 순유입이 높게 나타났는데, 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남자 연령별 순이동자 수 - 10세 미만(502명), 10대(130명), 20대(-2,172명), 30대(724명), 40대(1,042명), 50대(856명), 60세 이상(495명))
▲ 성별 순이동 인구 추이4. 연령별 인구이동
2017년 30대 이하는 순유출되었고, 40대 이상은 순유입되었다. 최근 10년간 20대 연령층은 지속적으로 순유출되었고, 40~50대는 지속적으로 순유입되었다.
▲ 최근 10년간 순이동 추이(20대와 40대 비교)5. 전북과 수도권, 광주․전남간 연령별 순이동
2017년 전북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은 3,228명으로 20대가 매년 지속적인 순유출을 보인 반면, 40~50대는 순유입을 보였다.
2017년 광주․전남에서 전북으로 순유입은 47명으로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순유입을 보였다. 광주․전남으로 20대는 2011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인 순유출을 보였고, 50대 이상은 2012년 이후 순유입을 보였다.
▲ 최근 10년 간 수도권 순이동 추이(20대와 40대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