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2월 12일 이날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긴 쿠데타가 일어난 날이었다.
1212 쿠데타는 전두환과 노태우 등 군 사조직인 ‘하나회’가 중심이 돼 당시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도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등을 체포하고 권력을 장악한 사건이었다.
10.26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수사 총책임을 맡고 있던 전두환은 정승화 총장이 김재규와 사전 공모했다고 우겨 최규하 대통령에 재가를 받고 연행하려 했으나 재가가 이뤄지지 않자 서울 한남동 총장 공관에서 총격전까지 벌이며 강제 연행했다.
정병주 사령관과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도 신군부에 대항했지만, 최규하 대통령이 다음날 새벽 정승화 총장 연행을 사후 재가해주자 모두 체포됐다. 이후 정승화 총장은 쿠데타를 방관했다는 죄목으로 이등병으로 계급을 강등당한 채 불명예제대를 했으며 정병주, 장태완 사령관도 억울하게 군복을 벗어야 했다.
12.12 군사 반란으로 신군부가 권력의 전면에 등장하면서, 국민들은 박정희 독재정권의 몰락의 기쁨도 잠시였다.
이듬해인 1980년에는 ‘서울의 봄’을 꿈꿨던 국민들은 정권장악을 기도하려는 또 하나의 박정희를 보아야 했다. 신군부의 검은 속내를 눈치 챈 야당과 대학생들의 저항이 거세졌다. 이에 신군부는 국무회의를 협박해 계엄을 내리게 했다. 이것이 1980년 5월17일 비상계엄으로 전국 대학에 휴교령이 내려지고 정치활동이 일체 금지됐다.
비상계엄 다음날에 광주는 피눈물도 없는 군화에 짓밟혔고 김대중은 내란음모조작 사건으로 사형이 선고됐으며 김영삼은 가택연금, 김종필은 보안사령부에 감금시켜 자신들의 정적들의 입과 귀를 모두 차단했다.
국민의 피를 보고 전두환은 8월 22일에 육군 대장으로 셀프 진급한 뒤 예편해 9월에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반란을 완성시켰다. 1212사태 이후 9개월에 이르는 신군부의 정권 장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 걸린 쿠데타로 기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