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31일 저녁 서울 홍은동의 다세다주택 ‘이웃기웃’에선 ‘1인가구’ 입주민 13명이 모인 반상회가 열렸다. 곧 다가오는 ‘연말 파티’의 슬로건을 두고 의견을 내는 중이었다. 연말파티 준비 외에도 매달 열리는 반상회에선 소소하지만 생활에 중요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진다. 변기를 고정시키는 시멘트를 공동구매한다거나 분리수거 제대로 하는 방법 등 ‘생활밀착형’ 안건들이 많다.
1인가구의 연말은 쓸쓸할 것이라 흔히 생각하지만, 이곳에선 그런 분위기를 감지하기 어렵다. 서로 얼굴 볼 일이 거의 없는 일반 원룸촌과 달리 서로의 이름과 직업을 속속들이 알고 종종 집으로 초대도 하는 나름 ‘끈끈한’ 관계다. 스무살 이후 독립했다는 김연희(28·시민단체 상근자)씨는 “저녁에 늦게 들어올 때도 잦은데 주변에 ‘아는 사람들’이 산다는 게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이웃끼리 서로 기웃거리며 보살핀다’는 뜻을 지닌 ‘이웃기웃’은 높은 주거비 부담과 고립감을 덜기 위해 1인가구들이 모여 사는 협동조합형 공공임대주택이다. 서울시가 만 19~35살의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2013년부터 벌인 사업이다. 임대보증금 2천만원, 월세 13만원 수준이며, 건물 두 동에 30여가구가 입주해있다. 이웃기웃의 임경지 이사장은 “더 이상 1인가구가 부모로부터 독립해 결혼하기 전까지의 일시적 상태를 가리키지 않는다. 비혼·만혼이 늘면서 1인가구로 사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어, 이런 가구들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주거 수요가 앞으로도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비혼·만혼이 늘어나고 저출산이 심화되는 추세는 4인가구 중심의 ‘전통적 가족’의 모양도 바꾸어가고 있다. 1인가구와 2인가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다양한 주거 공동체와 새로운 가족 형태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법률혼 부부와 자녀를 중심으로 한 가족만 ‘정상 가족’으로 여기는 사회적 인식의 개선은 물론이고 법·제도적으로도 다양한 가족에 대한 포용력을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