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희경 새누리당 의원은 28일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필요성에 대해 “교육은 교육 논리로 풀어야 하는데 그동안 우리 교육이 정치 논리에
휘둘려왔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이날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첫 업무보고에 앞서 보도자료를 내고 20대 국회가 개원하자마자 야 3당이 공조해 발의한
‘국정화 금지 법안’에 대해 비판했다.
전 의원은 “교과서의 좌편향성은 이미 지난해 논쟁에서 모두 드러났다”면서 “편향된 사관과 서술을 학문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포장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이어 “현재 올바른 역사교과서 집필은 여론의 수렴과 장관 고시, 집필 기관 선정, 집필기준 및 집필진 선정 등 정당한
절차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이를 무력화하는 이른바 ‘국정화 금지 법안’을 야 3당이 공조해 발의한 것은 교육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국민의 염원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현행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해 전 의원은 “교과서는 개개인 연구자의 학문적 견해를 늘어놓는 장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정설(定說)을
싣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도 지난 정치권은 교육에서 교육논리가 실종되고 오로지 정치논리에만 끌려다니면서 국가 경쟁력이
하락하고 이념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