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23일 “영남권 신공항은 불순한 정치논리와 맹목적 개발주의가 만들어낸 신기루”라고 말했다.
심상정 대표는 이날 오전 MBC라디오 <</span>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을 백지화하고 김해공항을 확장키로 한 것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힌 배경에 대해 “지난 총선에서 지역공약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이 문제를 검토를 했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이 신기루를 좇는 과정에서 치러야 될 희생이 너무나 크다, 가덕도든 밀양이든 잃을 것은 너무나 크고 분명했기 때문에 박근혜 정부가 결자해지 하도록 촉구한 것”이라며 “김해공항 확장은 상식 있는 시민, 또 책임 있는 정치인, 또 양식 있는 전문가라면 누구나 자연스럽게 도달되는 그런 결론”이라고 주장했다.
또 심 대표는 “영남권 신공항은 이미 2011년에 죽은 공항이 됐지 않았나? 이미 백지화 됐던 것인데 이것을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다시 들고 나오면서 논쟁에 불을 지폈다”며 “이것은 신공항이 논란의 중심이 아니고 10조가 넘는 국비를 유치하는 경쟁이 과열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후유증이 큰 것”이라고 했다.
이어 “여기에 과도한 불순한 정치논리들이 개입됐기 때문에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남권 신공항’ 문제는 ‘신공항’의 타당성에 입각한 것이라기보다는 지역 간 10조원의 국비 유치경쟁의 매개였을 뿐이란 설명이다.
이로 인한 후유증에 대해선 “영남지역 주민들의 상실감이 크다. 또 PK와 TK 두 지역사이에 감정의 골도 패였다. 전적으로 지역 정치권과 정부의 잘못”이라며 “그래서 서운함을 달래고 상처를 메우는데 정부와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이득을 위해 혹세무민하면서 크나큰 사회적 손실을 일으킨 정치인들이 크게 반성하고 정치적 책임을 자임해야 된다”며 “죽은 신공항을 대선 공약으로 다시 들고 나와서 논쟁에 불을 지핀 박근혜 대통령부터 나서서 이 일을 수습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이번 신공항 사태를 계기로 해서 지자체장들도 이런 지역정치권도 헛된 개발사업을 쫓기보다는 지역 맞춤형 개발사업, 또 복지사업에 관심을 기울여야 된다”며 “정의당은 선심성, 낭비성 SOC사업 추진을 억제하는 그런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