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생면·온양읍, 새울본부 후원 에너지 취약계층 나눔행사
(뉴스21일간/최원영기자)=울주군 서생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김혁관, 김형수)와 온양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서천천, 최성기)가 5일 새울원자력본부(본부장 소유섭)의 후원을 받아 에너지 취약계층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한 ‘소쿨소핫(So cool So Hot) 나눔행사를 진행했다.이번 사업은 지난 여름 여름철 서큘레이터 지...

입사 1년 이하의 직장인 10명 중 8명은 회사를 옮길 생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입사 1년 이하의 직장인 352명을 대상으로 “현재 회사를 옮기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까?”라고 설문한 결과, 무려 83.8%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회사를 그만두고 싶게 만든 가장 큰 원인은 단연 ‘낮은 연봉 수준’(27.8%)이었다. 다음으로 ‘열악한 근무환경’(13.9%), ‘직무와 적성 불일치’(10.5%), ‘상사, 동료와의 불화’(10.2%), ‘과다한 업무량’(8.1%), ‘미흡한 복리후생제도’(7.8%), ‘회사 비전의 부재’(6.8%)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이들이 회사에 대한 불만을 느끼기 시작한 시기는 입사 후 ‘3개월’이 24.7%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2개월’(21.7%), ‘1개월 이전’(20.3%), ‘6개월’(10.8%), ‘10개월 이후’(6.8%) 등의 순으로 답해, 평균 3.6개월로 집계됐다.
특히, 이들 중 무려 83.4%는 경력을 포기하고 신입으로 지원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경력을 포기할 의향이 있는 이유로는 ‘어차피 보유 경력이 짧아서’(65.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경력이 도움이 안될 것 같아서’(27.2%), ‘희망 직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24.4%), ‘공백기가 길어질까 일단 취업한 거라서’(23.2%), ‘경력 이직보다 쉬울 것 같아서’(19.1%) 등의 답변이 있었다.
이때 입사 지원할 기업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 1순위는 ‘연봉’(24.8%)이었다. 이외에도 ‘업무 적성’(15%), ‘복리후생’(12.6%), ‘야근 등 근무 환경’(12.6%), ‘조직문화, 분위기’(9.3%), ‘업무 내용’(5.7%) 등이 이어졌다.
기존과 동일한 직무로 지원할지에 대해서는 ‘다른 직무로만 지원’을 희망한다는 응답이 15%로 ‘같은 직무만 지원’(13.4%)보다 근소하게 많았다.
실제로 이들의 절반 이상(52%)은 올 하반기에 신입으로 지원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직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는 ‘이력서, 자소서 작성’(57.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입사지원서 제출’(43.8%)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관심기업 채용 확인’(24.2%), ‘자격증 등 시험 응시’(21.1%), ‘외국어 등 공부’(19.5%), ‘취업포털에 이력서 노출’(16.4%), ‘면접전형 응시’(14.1%) 등이 있었다.
한편, 응답자 10명 중 4명(37.2%)은 처음부터 회사를 다니면서 이직을 준비할 생각으로 입사한 일명 ‘취업 반수생’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이직할 마음이면서 일단 입사한 이유에 대해 ‘경제적인 부담을 덜기 위해서’(66.4%, 복수응답), ‘공백 기간을 줄이기 위해서’(51.9%), ‘어차피 평생 직장은 없어서’(32.1%), ‘기업이 경력 보유자를 선호해서’(26%) 등을 들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기업 입장에서 신입사원 1년차는 성과를 기대하기보다는 회사가 원하는 인재로서 단련시키는 기간에 가깝다. 그런데 조기퇴사자가 증가함에 따라 비용손실 및 인력난을 겪는 기업들이 많다.”라며, “개인의 입장에서도 잦은 단기경력은 메뚜기 직장인으로 비춰져 손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최종 입사결정과 퇴사 모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