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고고학역사학민속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시행한 러시아 연해주 콕샤롭카 발해 유적의 제7차 발굴조사를 완료하고 그 성과를 공개했다.
콕샤롭카 유적은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된 발해 유적 중 가장 북단에 위치해 전성기 발해의 영역 확장과 관련하여 주목받아 왔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올해 연차 발굴의 최종 조사로서 성 외곽의 석축 구조물과 성벽, 해자 구간 조사를 실시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조사결과 석축 구조물은 대형 판석을 최대 4단으로 쌓아 기단을 만들고, 상부에 담장과 ‘ㅁ’자형 공간, 계단, 기둥 등을 시설돼 있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구조물은 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 시신이 매장된 부분)는 불분명하나 금제드리개장식, 은제허리띠장식, 은제못, 청동팔찌 등 출토 유물로 미루어 무덤으로 추정되며, 장례 이후 공간을 확장해 제단으로 장기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한, 석축 구조물에서 8~9세기 위구르 양식의 토기가 출토됐는데, 이 유물은 당․일본․신라․돌궐 등과 광범위한 교역 경로를 운영한 발해의 국제교류 양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성벽과 해자(垓字)에 대한 단면 조사를 통해 축조 방법과 조영(造營)․존속시기도 확인했는데, 성벽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흙더미를 교대로 쌓아 올린 후 깬 돌(할석)로 상부를 보강하는 방식으로 축조됐다고 밝혔다.
또한 발해의 특징적인 직육면체 토제품을 비롯해 전형적인 발해 토기와 동물 뼈 등이 발견됐으며, 성벽은 발해 대에 축조한 후 증축하여 여진 대까지 장기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발굴조사가 해동성국 발해의 동북 방면 진출 양상과 주변 민족 간 교류관계 연구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이러한 조사 성과를 종합한 발굴보고서를 2015년에 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