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의 알권리 충족과 ‘정부 3.0’ 핵심과제 수행을 위하여 도민생활과 밀접하거나 도민들의 관심이 많은 정보에 대해 ‘사전정보공표 대폭 확대, 원문정보공개 시행 등’ 행정정보의 적극 공개를 위해 중점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는 도민이 편리하게 행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행정정보공개 홈페이지(iopen.jeju.go.kr) 검색 메뉴를 재편성하고, 보유 정보목록을 정보공개시스템에 연계 구축하여 금년 1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행정정보란 ‘행정정보공개’ → 사전정보공개
특히, 정보공개 청구빈도가 높으며 도민이 실질적으로 알고 싶어하는 정보 252건을 1차로 발굴하여 공개하였으며, 또한 원하는 정보를 쉽게 검색이 용이하도록 안행부 제시 표준모델을 적용하여 254건을 추가 발굴, 현재 총 506건을 지난 4월 1일부터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다.
또한, 지난 3월 28일 부터는 행정기관에서 생산한 문서목록을 대한민국 정보공개포털(
www.open.go.kr)을 통해 전면 공개하고 있으며, 올해 3월 21일부터 국장급(행정시 부시장) 이상 결재 문서 중 정보공개법상 비공개 대상을 제외한 문서에 대하여는 원문 그대로 열람이 가능하다. ※ ‘정보목록(원문)’ 찾기 → 분야별 업무찾기, 기관/부서별 찾기, 테마별 찾기
도는 관행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던 행정내부정보 등을 도민들에게 적극 개방하고 공유하기 위하여 정보공개책임관인 총무과장을 중심으로 도·행정시·유관기관 전직원에 대하여 지난 3월 집중 교육(5회, 3,397명)을 실시한 바 있으며, 행정 환경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효율적인 정보공개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기존의 비공개대상 정보를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월, 정비를 완료하였다.
아울러 정보공개 청구의 증가로 부서에서 다소 소흘히 처리하기 쉬운 정보공개 청구건에 대한 사전 컨설팅을 강화하는 한편, 도내 일반시민으로 구성된 20명의 정보공개 모니터단과 홈페이지를 통한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공개 운영상황에 대하여 수시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는 앞으로 “행정정보의 사전 공개를 통하여 정보공개 청구에 드는 사회적 비용이 대폭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정보공개심의회와 모니터단의 적극 운영으로 정보공개제도의 질적 향상, 도정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