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곶자왈의 이름을 인용하여 ʻ베리박터 곶자왈엔시스ʼ로 명명
▲ 베리박터 곶자왈엔시스의 전자현미경 사진 (a)주사전자현미경 (b) 투과전자현미경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 |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연구소(소장 양영환)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오태광) 미생물자원센터 이정숙 박사팀과 함께 제주도 곶자왈에서 새로운 속(Genus)의 미생물을 발견했다.
*속(屬,Genus) : 생물의 분류단위의 하나로, 종(種)보다 높고 과(科) 그룹 다음에 오는 계급
이번 연구결과는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 ʻ안톤 반 레벤후크(Antonie van Leeuwenhoek)’ 에 3월 11(화)일자 온라인판으로 게재되었다.
제주도 곶자왈은 숲을 뜻하는 ʻ곶’과 수풀이 우거진 곳을 뜻하는 ʻ자왈’을 합쳐 만든 제주 고유어로, 제주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화산활동이 만들어 낸 암괴상 및 용암류 위에 형성된 식생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으로 인해 그 동안 곶자왈에서는 동․식물 및 토양 등 다양한 생물자원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왔으나, 곶자왈에서 새로운 미생물을 발견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곶자왈 토양 시료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고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알려진 미생물과는 다른 미생물을 발견하고, 형태학적․화학분류학적․분자분류학적 실험 등 다양한 연구수행을 통해 새로 발견된 미생물이 새로운 속(Genus)의 미생물임을 확인하였다.
발견된 미생물은 근연관계의 다른 미생물들과 형태나 생리생화학적 차이를 보였으며, 계통수(phylogenetic tree)에서도 근연관계의 다른 속 미생물들과는 확연히 구분되었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미생물의 학명을 독특한 형태학적 특성과 곶자왈에서 발견된 점 등을 고려하여 ʻ베리박터 곶자왈엔시스(Variibacter gotjawalensis)’라고 명명하였다.
ʻ형태가 변하는 막대모양’이라는 뜻을 지닌 ʻ베리박터’라는 단어를 속명으로, 곶자왈이란 제주 고유어를 적용하여 ʻ곶자왈엔시스’라는 단어를 종명으로 명명하였다.
향후 연구팀은 베리박터 곶자왈엔시스(Variibacter gotjawalensis)의 주요 기능 및 역할 등 관련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제주도 곶자왈로부터 미생물 다양성을 연구하고 새로운 유용미생물을 확보하는 것은 고유생물자원의 국가자산화와 국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