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28일까지 산불위험요소 사전제거 사업, 593개소 1030ha 공동소각
최근 논.밭두렁 소각중 노약자의 사망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부여군(군수 이용우)이 대대적으로 「산림연접지 소각」을 실시, 산불 위험요인 사전 제거하고 있어 산불예방 및 주민들에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부여군은 산불예방을 위하여 지난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산불위험요소 사전제거 사업으로 593개소 1030ha를 공동소각 계획이며, 현재까지 산간 오지를 중심으로 362개소 630ha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특히, 산불발생의 주원인이 논·밭두렁 소각에서 비롯되는 만큼 사전에 산불발생을 차단한다는 계획으로 오는 2월 28일까지를 공동소각기간으로 설정하고 마을별 공동소각 추진하고 있다.
주요 인화물질 제거 지역은 산림연접 농경지 480개소 967ha, 주요 도로변 및 농산폐기물 113개소 63ha를 공무원, 산불예방전문진화대원, 산불유급감시원, 지역주민 등을 동원하여 공동소각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자가 경작하는 논·밭두렁과 산불 위험성이 높은 휴경지에 중점을 두어 추진중이다.
한편, 군은 본격적인 봄철 건조기가 시작되는 3월 1일 이후로는 산림과 근접한(100m 이내) 토지에서의 소각행위를 전면 금지하고 입산자의 발화행위를 집중단속을 강화할 예정이며, 이를 위반시 과태료 부과 등의 행정적 처벌을 통해 논·밭두렁 소각에 의한 산불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력을 다 하기로 하였다.
손석구 공원산림과장은 “매년 고령자의 논·밭두렁 소각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일어나고 있어 주변을 안타깝게 하고 있는 만큼 논·밭두렁의 소각은 반드시 마을공동 소각으로 실시하고, 가까운 읍·면사무소에 신고하여 산불감시원이나 산불예방전문진화대의 지원을 받아 소각하여 불미스런 사고를 사전에 예방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