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아랑곳 않고 13일 오전 7시 39분 로켓 발사 버튼을 눌렀다. 하지만 북한의 ‘광명성 3호’는 1분만에 공중에서 산산조각 난 것으로 확인됐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정부성명을 발표하고 “평안북도 철산군 소재 발사장에서 소위 ‘실용위성’이라고 주장하는 사실상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였으나 실패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북한이 오늘 오전 발사한 미사일은 발사한 지 수분 후에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면서 추락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미 정보 당국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실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로켓 발사를 탐지하기 위해 조기경보위성(DSP)과 최첨단 이동식 레이더인 SBX-1(해상기반 X밴드 레이더) 등을 모두 가동시켜 왔으며, 현재 실패 원인과 잔해물 낙하지점 등을 정밀 분석중이다.
군 고위 관계자는 “로켓 잔해물이 군산 서방 190~200㎞ 해상에 떨어진 것 같다”면서 “1단과 2단이 분리되지 않은채 그곳까지 비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당초 정부 당국은 북한이 13일 최고인민회의 12기 5차회의를 소집했고, 15일은 김일성 주석 100회 생일을 맞아 대규모 경축 행사가 예정돼 있어 14일쯤 발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했다.
발사시간대도 대기중 습기가 줄어드는 정오 무렵이 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북측은 오늘 이른 아침에 로켓을 전격적으로 발사했다.
북한은 그동안 광명성 3호 로켓이 기상관측용 위성을 궤도에 올리기 위한 추진체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핵탄두 운반용 장거리 로켓 실험으로 보고 발사 중지를 촉구해왔다.
이명박 대통령은 현재 청와대에서 긴급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소집해 북한 광명성 3호 발사에 따른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회의에는 김성환 외교통상ㆍ김관진 국방ㆍ류우익 통일 장관,원세훈 국가정보원장, 임종룡 총리실장, 천영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