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월 13일 경유차로 인한 대기오염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정부·시민단체·자동차 전문가 등 총 15명으로「경유차환경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고 밝혔다.
지난 12월 26일 경제장관간담회에서 금년 2월 15일까지 경유승용차 배출허용기준 조정에 관한 정부방침을 결정키로 함에 따라 「경유차환경위원회」는 앞으로 에너지가격체계, 연료품질, RV·트럭 등 제작차 기준강화, 경유승용차 배출허용기준 조정 등 경유차 전반에 관한 폭넓은 논의를 거쳐 2월 6일까지 경유승용차 배출허용기준 조정을 포함하여 경유차로 인한 대기오염개선 민·관 협의안을 마련, 경제장관간담회 등에 상정하여 2월 15일 까지 방침을 결정할 계획이다.
「경유차 환경위원회」는 김명자(金明子) 환경부장관과 전체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1월 11일 환경부 1층 회의실에서 첫 모임을 갖고 에너지 가격, 연료품질, 경유차 (제작차 및 운행차) 전반에 대한 대기오염 저감대책, 경유승용차 배출허용기준 조정 등이 경유차로 인한 제반 문제 해결에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하였으며,
①경유차 대기오염저감방안(제작차 배출허용기준 강화방안, 제작차 및 운행차 관리제도 개선방안) ②에너지가격체계 개선방안 ③연료 환경품질개선방안 등을 주요 논의의제로 정하고 2월 6일까지 향후 4차례의 회의와 1차례의 공개토론회를 거쳐 경유차로 인한 대기오염 저감방안(경유승용차 배출허용기준 조정방안 포함)에 관한 의견을 모으기로 하였다.
이날 김명자(金明子) 환경부장관은 「경유차환경위원회」에 참석, 인사말씀을 통하여
“경유차 문제는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기는 하나, 국가· 사회·국민을 위해 미룰 수 없는 과제인 만큼 전문가·시민단체 등과 함께 풀어야 한다”고 하면서“위원회가 대기질 개선이라는 국민적 여망 아래 민관 파트너십에 기초한 가버넌스(governance) 정신에 입각하여 에너지가격체계 개선, 연료 품질 개선, 경유차 전반에 관한 대기질 개선프로그램 등 세부사항을 논의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kimj@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