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시장 최성)는 지난 8월 음식물폐수 해양투기업체의 장기 파업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의 가동 중단, 10월 대규모 전국체전 등으로 장기간 음식물쓰레기 대란 위기가 있었으나 담당 공무원들의 능동적인 대처와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위기를 극복하고 안정을 되찾았다고 14일 밝혔다.
고양시는 그동안 관내 가정과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1일 220여 톤의 음식물쓰레기를 3개 처리업체와 계약하여 안정적으로 분산처리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 8월 중순 처리업체 중 1개 업체가 갑자기 재정악화로 가동중단 사태가 발생하였고, 2013년부터 시행되는 음식물폐수의 해양투기 금지와 관련하여 전국의 해양투기업체들이 8월29일부터 일제히 장기 파업에 돌입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10월6일부터 7일간 전국체전이 고양시에서 진행되어 음식물쓰레기 대란발생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 언론은 물론, 시민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시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시민들에게 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 음식물쓰레기 배출을 최대한 억제하여 줄 것을 호소하는 한편, 관내 처리업체에서 발생하는 1일 40여 톤의 음식물폐수를 일산하수처리장내 임시보관 저장조를 마련하여 임시저장 및 난지하수처리장 소화조로 투입ㆍ처리하는 등의 비상조치를 취했다.
또한, 해양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관외 처리업체와 계약을 체결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산처리 하는 등의 대책으로 이번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시 관계자는 “금년과 같은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삼송택지개발지구내에 1일 260톤 규모의 공공처리시설을 건설하고 있으며, 앞으로 시민들을 대상으로 낭비 없는 음식문화개선을 위한 음식물쓰레기 발생억제시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자료 제공 : 환경생태국 청소과(팀장 홍점수 ☎ 8075-2694)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