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지, 교복비, 학원비, 대학등록금, 빵 등 환율 품목 6개 등 집중관리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서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학습지 구독비와 신학기를 앞두고 교복값, 학원비 등 교육에 관련된 물가 잡기에 나섰다.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근 부처 합동으로 천정부지로 솟는 교육 물가를 잡기 위해 학습지 구독비, 교복비, 학원비, 등록비 등 4가지 품목을 선정해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최근 극심한 경기 침체로 올해 각 가구의 실질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가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비는 오히려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 업체들이 최근 10~15%씩 교복 가격을 잇따라 인상하는데다 학습지와 학원비도 10% 안팎 올라 서민 가정의 주름살이 깊어지는 상황으로 정부는 교복의 공동구매 기간을 연장해 시일에 쫓기지 않고 교복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올해 겨울용 교복 공동구매 계약이 완료된 학교들의 구매가격은 12만~16만 원으로 유명업체의 25만~35만원보다 절반 정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나 교복 공동구매율은 2006년 7.1%, 2007년 17.8%, 지난해 25.4%로 증가 추세를 보여, 정부의 이번 조치로 올해 교복 공동 구매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학원비는 관할 교육청 중심으로 주변 학원을 집중적으로 관리 점검해 가격 인상을 막기로 하는 한편 학습지 업체에 지나친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부터 등록금 인상률이 지나치게 높은 대학은 정부의 장학금 지원사업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한편, 최근 설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도 급등하여 서민들의 주름살만 깊어가고 있다.따라서 정부는 원자재값 인하에도 꿈쩍하지 않는 밀가루, 생선통조림, 맛살, 식용유, 과일주스, 빵 등 6개 품목도 중점 관리하기로 했다.정부는 지난해 3월부터 생필품 52개를 선정해 집중 관리해오고 있지만 국제적인 원재료 가격 및 환율상승 등의 요인보다 높은 상승을 보이고 있어 확실한 물가관리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