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극심한 성비 불균형과 여성들의 독신주의 경향 등으로 국제결혼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증가하는 국제결혼의 속도에 맞춰 국제결혼을 생각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예비 신랑들의 건전한 국제결혼 문화의 사고방식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제결혼 수요에 걸 맞는 신랑들의 사전 소양교육 또한 중요하다 할 것이다.
국제결혼전문가이자 하나로 국제결혼정보(주)(
www.wedhanaro.com)의 최효주 대표는 ‘웨드하나로 포럼’에서 앞으로 국제결혼을 꿈꾸고 생각하는 예비 신랑들에게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행복한 결혼생활’에 대한 마음가짐과 자세에 대해서 조언했다.
최효주 대표가 말하는 행복한 결혼생활의 노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부를 전적으로 이해하라는 것이다. 국제결혼은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적인 차이에서 자라온 남녀 간의 만남이다. 처음에 한국문화에 잘 적응치 못하더라도 불만을 가지지 말고, 꾸준한 인내를 가지고 상대방 입장에서 서서 하나하나 알려주려는 넓은 마음이 필요하다.
국제결혼을 하기까지 신부는 어린나이에 사랑하는 부모 형제를 멀리하고, 이역만리 오직 신랑 한사람만 바라보고 한국으로 온 것이기 때문에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멀리 타국으로 시집온 신부에게 결혼생활이란 막연히 희망과 기대뿐 아니라, 멀리 부모형제를 떠나온 그리움과막연한 두려움이 함께 공존할 것이다.
이런 복잡한 심리를 잘 이해하고 따뜻한 사랑과 믿음으로 신부를 이해하고 대하면 신부는 빠른 적응과 함께 신랑의 인생의 반려자로서의 도리와 정성을 충분히 다할 것이다.
둘째로, 결혼초기 3개월에서 6개월의 생활이 가장 중요하다. 국제결혼은 서로 다른 문화와 환경의 결합이기에 결혼초기에는 나라별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자기중심적 해석과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으로 인한 오해로 갈등을 겪기도 한다.
신부에게는 이 시기가 가장 힘든 시기이다. 문화적 차이로 오는 스트레스는 신랑도 마찬가지이지만 앞서 말했듯이, 가족을 떠나 낮선 땅에 시집온 신부에게는 모든 것이 힘들고 버겁다. 그러니 신부가 믿는 유일한 사람인 신랑이 신혼초기 결혼생활을 잘 리드해 나가야 한다.
신부와의 시간을 자주 갖고 소통하려고 노력하며, 언어와 그 집안의 예절을 잘 알려주면서 신부를이끌어 나간다면, 결혼초기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불협화음들을 잘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행복은 저절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만들어가는 것이다. 오늘날 행복하게 생활하는 부부들의
모습들을 보면 수많은 오해와 마찰을 슬기롭게 이겨내려는 각고의 노력들이 분명 있었으리라. 상대방의 입장에 서서 생각하고, 시집 온 신부를 하나의 인격체로서, 진정성을 가지고 애정으로 대하라는 것이다. 힘들고 어렵겠지만 점차 이해해가면서 자녀를 낳고 살다 보면 훗날 순수하고착한 내 아내와 결혼하기를 참 잘했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