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2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50%를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는 30개 중점추진 기술을 선정하고, 각 기술별 상세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번에 선정된 30개 중점추진 기술은 주요 에너지 기술별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 분석을 통해 비용 대비 온실가스 감축 및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 기술로서, 30개 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해 ‘2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량의 약 50%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번 선정된 30개 중점추진기술의 선정과정을 요약하면 먼저 기존 국내.외 에너지기술 로드맵 분석 및 산업계 실태조사를 통해 예비 후보기술군을 구성하였으며, 전문위원회 검토를 거쳐 감축후보기술군을 67개로 압축하였으며 후보기술군에 대해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고 우선순위 도출하였다.
효율성이 높은 기술들을 우선적으로 도출하고 정책적 중요성이 높은 기술들을 추가로 반영해 44개의 기술을 선정한 뒤, 기술수준에 따른 통합.조정 과정을 거쳐 30개 기술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30개 중점추진기술 중 태양광, 풍력, 그린카, 스마트그리드 등 성장동력화 효과가 뛰어난 15대 기술 개발은 현재 수립중에 있는 ‘그린에너지 전략 로드맵’을 통해 추진하고, 그 외, 연소기기, 열교환기, 전동기, Non-CO2, 석유화학공정 등 15대 분야는 별도의 로드맵을 수립하여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 전했다.
15대 기술에 대한 신규 로드맵 수립을 위해, 각 기술별 산학연 전문가들로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3일(화)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총괄 착수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앞으로 약 2개월간의 분과위원회 활동을 통해 로드맵 초안을 마련한 뒤, 공청회를 거쳐 7월경 최종 로드맵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새로 수립될 로드맵은 올해 하반기 수립 예정인 ‘제2차 국가에너지기술개발 기본계획’에 반영하여 향후 에너지 R&D의 핵심적인 전략방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에너지 R&D 예산을 금번에 선정된 30대 기술개발에 집중 투입하여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에너지기술의 성장동력화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