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21광주취재본부】손대겸 기자=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가축 수가 지난해 11월 안동에서 시작돼 1월 10일까지 140만 마리를 넘어섰다. 구제역 43일 만에 국내에서 기르는 소의 3.2%, 돼지의 12.4%가 매몰되었다.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시.도 간 이동과 도축도 통제되고 있으며, 정확한 감염경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이럴 것 같다는 가상적인 결론으로 대책을 세우다 보니 근본적인 차단은 되지않고 계속 확산되고 있다.
농수산 식품부의 지침에 따라 광주광역시 북구청(청장 송광운)은 10일 오후 2시 북구청 2층 상황실에서 북구청을 비롯한 유관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구제역.AI 관련 유관기관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는 전국적으로 확산 일로에 있는 구제역의 지역 내 유입차단 등 관련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소집되었으며, 광주?전남수의사회는 감수성 가축 임상관찰과 방역홍보 등을 추진하고, 광주축협은 위험.경계지역에 대한 가축사료 및 동물약품 등 공급을 맡게 되며 북부경찰서는 통제초소와 방역시설물 보호, 축산물 매점.매석 특별단속 등을 실시하고 북부소방서는 소독차량과 통제초소 등의 급수지원을 담당한다. 또한 503여단 3대대는 통제초소 운영인력을 지원하는 한편 필요시에는 화학 중대를 동원해 소독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한편 북구에는 현재 62농가가 소를 비롯한 사슴, 염소 등 1337두의 우제류를 사육하고 있으며 북구는 방역통제초소 2개소를 24시간 운영하는 등 구제역 유입 차단에 나서고 있으며, 북구 우치동물원 가축을 보호하기위하여 잠정적으로 휴장을 결정하였다.
송광운 북구청장은 “민.관.군.경의 유기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해 구제역 유입 차단대책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며 “축산농가에서는 매일 가축 상태를 확인하고 구제역 의심가축은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 한다”고 말했다.
또한 광주 축산농가에서는 매스컴에 가족이나 다름없는 가축을 살처분하여 땅에 묻을 때 심정을 통감한다고 하루 빨리 악몽이 끝나길 바라며 앞으로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설 개선자금의 확대, 축사 내부 진입시 위생시설 등의 정부의 보조가 있길 기대하고 있다.
의회에서도 법을 정비하여 농가 시설 기준, 축사의 위생 기준 등을 정비하여 청정 대한민국이 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뉴스21광주취재본부】손대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