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잇따른 비리로 얼룩졌던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국민의 성금으로 단란주점과 나이트클럽 등을 다닌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가 21일 발표한 공동모금회 감사 결과에 따르면 직원들이 법인카드로 2006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단란주점과 노래방 등에서 집행된 액수가 124건에 무려 2,000만 원이었다.
직원 채용에 있어서 공동모금회 서울지회 경우 공개채용에서 탈락한 응시자 8명이 정당한 사유 없이 특별채용돼, 이 가운데 4명은 결국 정규직원이 됐다.
근무 태만 등으로 지회에서 면직 처리된 이가 중앙회로 자리를 옮겨 버젓이 근무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었다.
무엇보다, 비리가 적발돼 '지원 중단' 조처가 내려진 기관에도 성금이 지원되는 등 예산을 엉망으로 집행해 국민의 피땀이 밴 수억 원 성금이 덧없이 낭비됐다.
그런데도 최근 3년간 모금회 사무총장과 직원 인건비는 공공기관 평균 3%의 3배에 가깝게 인상됐다.
복지부의 이번 감사 결과 발표 내용에는 앞서 모금회가 자체 감사를 통해 적발한 경기지회와 인천지회 등의 비리 사례는 포함되지 않았다.
김시관 복지부 감사관은 "공동모금회가 이 지경이 되도록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고 유감을 나타냈다.
복지부는 비리 관련 직원 160여 명에 대한 징계 등을 주문하고, 부당 집행된 7억 5,400여만 원의 회수도 요구했다.
이런 가운데 모금회 윤병철 회장과 박을종 사무총장, 이사진 등 20여 명이 21일 전격 사퇴를 발표해 모금회 운영에 당분간 파행이 불가피하게 됐다.
복지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앞으로 전문가 협의 등을 거쳐 모금기관 투명성 강화 등 개선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직원의 각종 비리 등이 언론에 보도된 이후 지회마다 소액기부를 철회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10월부터 현재까지 모금액은 지난해보다 약 20억 원 정도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