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8일 후계자로 알려진 3남 김정은에게 '인민군 대장' 칭호를 부여했다.
이는 후계구도를 대외에 공식화한 것으로 이날 노동당 대표자회에서도 김정은이 노동당 고위직에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보도를 통해 "김정일 위원장이 27일 김경희, 김정은, 최룡해 등 6명에게 대장의 군사칭호를 올려줬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대외적인 공식발표에 후계자 김정은의 이름이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사실상 후계 구도를 대외적으로 공식 발표한 셈이 됐다.
이에 따라 이날 열리는 당 대표자회에서도 김정은은 당 정치국 상무위원이나 비서국 비서같은 핵심 요직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김정은 후계 구도를 뒷받침할 인물들이 대거 당 요직에 입성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에게 첫 공식 직함으로 인민군 대장의 칭호가 부여된 것은 '친군 제스처'의 연장으로 풀이된다.
20대 후반에다 군부 인맥이 일천한 김정은에게 '친 군부' 이미지를 덧씌워 군 내부로부터의 반발을 막고 지지를 공고히 하려는 계산이 깔려있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듯 김 위원장은 또한 이번에 리영호 군 참모장(대장)을 차수로 승진 시킨 것 외에 대장 3명 등 40명 가까운 장성급 승진인사도 단행했다.
한편 김정은에게 '대장' 칭호를 부여하면서 김정일 위원장 최우선시하던 '선군 정치'는 김정은 시대에도 퇴색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당조직 정비 못지 않게 관심이 갔던 향후 북한의 정책 노선에는 당분간 '선군 정치'가 힘을 발휘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앞서 전문가들은 이번 당대표자회를 계기로 북한이 지금까지의 선군 정치, 자력갱생 동원체제를 포기하고 중국식의 개혁, 개방을 선언할 수도 있다며 주목해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