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교조 시국선언 참여교사 징계방침, 또 다시 폭풍 속으로
정부의 국정쇄신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이 그치지 않고 전국을 넘어 외국으로 까지 번져가고 있다.
지난 3일 서울대, 중앙대 등 대학 교수들로부터 촉발된 시국 선언이 학계, 종교계, 법조계, 사회원로, 문화예술계, 의학계, 청소년, 대학생으로 전 국민 시국선언 으로 확대되고 있다.
10일 북미 교수 240명이 성명서를 발표한 데 이어 19일에는 유럽 대학, 연구소에 재직 중인 한국인 학자, 외국인 학자가 공동으로 성명서를 발표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18일 소속 교사 1만 6천171명의 이름으로 현 정부들어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다며, 국정 기조의 전환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을 발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전교조의 시국선언이 공무원법과 교원노조법을 위반한 정치적 집단행위라며 불법행위로 규정하고 주동자들을 검찰에 고발, 징계 방침을 밝혀 또다시 전교조 죽이기라는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전교조가 다시 시국선언은 양심에 따른 의사표현이지, 특정정당을 지지하는 정치 행위가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오는 22일 서명자 명단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전국 1447명 스님에 이어 천주교 사제 1178명이 시국선언문을 발표하는 등 개신교 지도자들도 시국선언에 동참 종교인들의 시국선언이 줄을 잇고 있다.
15일 조계종은 중진스님과 실천불교 전국승가회스님 등 1,400여명이 조계사 대웅전에서 ‘국민이 부처다. 이명박 정부 국정운영의 대전환을 촉구한다’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시국선언문에서 스님들은 “국민 위에 군림하며 비뚤어진 공권력에 의지해 민주주의의 근간인 사상, 표현, 집회, 언론의 자유를 유린해 온 지난날을 깊이 반성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국가적 희망과 미래도 없다는 사실을 현 정부는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이라며 국정운영의 대전환을 촉구했다.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15일 서울 용산 참사 현장에서 시국 미사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사제단을 포함한 전국 천주교 사제 1178명이 참여한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대통령의 사과와 내각 총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대통령은 일찌감치 말의 진정성을 잃어버렸고 실용정부의 배후라 할 기득권 세력의 양보와 반성이 없는 한 그 어떤 유화조처도 근본적인 치유가 될 수 없다"며 "대통령이 이토록 국민의 줄기찬 요구를 정면으로 거부하고 헌법준수 의무를 저버릴 바에야 차라리 그 막중한 직무에서 깨끗이 물러나야 옳다는 것이 우리 사제들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18일 에는 한국교회 목회자 1000인 시국선언이 오전 서울 연지동 기독교연합회관 2층 강당에서 있었다. 실제로 시국선언에 동참한 목회자는 1022명 이다.
작은 십자가를 하나씩 들고 단상 위에 마련된 의자에 앉은 목회자 30여 명은 이명박 정부를 규탄하고 정부의 변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국민의 피땀으로 새워진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다"며 "이명박 정권 2년이 채 되지 않은 이 짧은 기간, 우리 사회와 역사는 너무 심하게 망가지고 말았다"고 밝혔다.
이제 정부는 더 늦기전에 범 국민적 시국선언을 외면하지 말고 귀를 기울여야 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