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I 명수정 박사, ‘북 자연재해 취약 지도’ 구축
북한 전체 면적의 35%가 홍수 취약 지역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환경연구원(KEI) 명수정 박사는 3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열린 연구원의 정기발표회에서 KEI 기본 과제 ‘북한의 자연재해 취약지 추정 및 남북협력방안 연구’를 발표했다. 명 박사는 토지이용·강우·지형·토양·과거 재해 이력· 사회 등의 입력자료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활용해 ‘북한 자연재해 취약 지도’를 구축했다. 취약 정도를 △안정 △다소 안정 △보통 △다소 취약 △취약 등 5등급으로 구분한 자연재해 취약 지도에 따르면 북한 전체 면적의 약 35%인 4만 2600㎢가 다소 취약 또는 취약 등급으로 재해 취약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강원도와 황해도, 평양 등 남쪽 저지대 지역과 산림 훼손이 심각한 곳이 홍수 등 자연재해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복원돼야 할 지역으로 시도별로는 황해도·평양특별시·남포직할시 등이, 경제특구별에서는 해주시·함흥시·개성직할시 등이 꼽혔다. 북한이 자연재해에 취약한 원인에 대해 명 박사는 “오랫동안 식량난과 에너지난 때문에 다락밭을 만들고 땔감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산림생태계가 심각히 훼손됐다”며 “산림의 재해 완충 기능도 약해져 매해 홍수재해를 입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KEI는 토양유실이 더 확산되지 않도록 산림생태계의 복원을 서둘러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남북기상정보를 공유하는 기상협력과 남한 IT 기술을 활용한 재해예측 경보체제 구축과 같은 협력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명 박사는 “남북경협 사업 대상지에서도 상당 지역이 재해 취약 지역에 있어 재해가 발생하면 대규모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직·간접적으로 북한 재해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남북협력 방안을 여러 방면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07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총회에서 공개된 ‘국제기후 위험지수 보고서’에서는 북한의 자연재해 위험이 2006년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발표된 바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