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석면이 포함돼 있는 전국의 모든 건물과 시설에 대한 실태를 강도 높게 벌여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지금까지는 석면에 대한 관리체계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석면이 어디에 들어 있는지 모르는 게 현실이라며 우선 분포 현황부터 철저히 조사해 종합대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환경부의 이런 방침은 최근 재개발 지역이나 충남 홍성과 보령의 석면폐광 인근 주민들에게서 석면 관련 질환이 잇따라 발견된 것과 관련이 있다.실태조사 대상은 전국에 산재한 석면폐광 뿐만 아니라 개건축ㆍ재개발 현장과 공공시설, 지하철 등 석면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모든 시설과 건물을 포괄한다.이 장관은 재개발 지역에 살았다는 이유로 석면 질환을 앓는 등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석면 때문에 고통받는 건 가슴 아픈 일이라며 실태조사가 끝나면 건물 관리와 석면질환 치료, 예방 등 조치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환경부는 오는 4월 폐광지역 건강영향조사 보고서가 나오는대로 실태조사에 들어가 이르면 내년부터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석면은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내약품성, 내부식성 등이 뛰어나 건축자재와 자동자부품, 섬유제품 등에 널리 사용됐지만 1급 발암물질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금은 일부 군용물품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사용이 금지돼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