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자동차 저공해 등 추진...미세먼지 줄여 수명 연장
‘환경 일류도시’를 만들어 서울 시민의 수명을 3년 더 연장한다.서울시는 2010년까지 서울의 대기질을 선진국 진입단계의 수준으로 개선해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환경도시, 도시 경쟁력을 갖춘 서울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대기오염 성분 중에서도 인체에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진 미세먼지의 경우 서울은 선진국 주요 도시에 비해 그 수치가 2∼3배나 높다. 실제로 프랑스 파리는 21마이크로그램, 미국 뉴욕이 22마이크로그램, 일본 도쿄가 29마이크로그램인 데 비해, 서울의 경우 2005년에는 58마이크로그램, 2006년에는 60마이크로그램을 기록했다.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80만 명이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조기 사망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매년 100만 명이 호흡기 장애를 겪는 등 미세먼지의 폐해가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수도권 지역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가 2005년의 경우 1만1000명에 이르고, 사회적 피해비용도 2조 624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쿄 수준으로만 대기질이 개선되면 서울 시민의 평균수명이 3년 정도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저공해화’ ‘교통수요관리’ 중심 정책 추진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76%가 자동차 운행 등 수송분야에서 발생하고 그중 미세먼지는 100%가 경유차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대기질 개선을 위해 자동차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여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자동차의 저공해화’와 ‘교통수요관리’를 양대 축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자동차의 저공해화 정책으로는 경유차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과 노후 경유차의 저공해화 조치 의무화를 우선적으로 할 예정이다. 노후 경유차의 경우 출고된 지 7년 이상 된 3.5t 이상 경유차는 올해와 내년 사이에, 출고된 지 7년 이상 된 2.5∼3.5t 경유차는 2009∼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저공해장치를 부착해야 한다. 대상 차량은 서울 13만 대, 경기도 16만 대, 인천 9만 대 등 모두 38만 대다. 저공해차에 대해서는 환경개선부담금과 정밀검사 3년 면제, 혼잡통행료 감면 등의 인센티브도 부여한다. 저공해화와 함께 대기질 개선을 위한 또 다른 핵심 정책은 시민들 스스로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자전거도로를 늘리며, 승용차 요일제를 확산시키는 등 교통수요 관리방안도 다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서울시 맑은 서울추진본부 담당자는 “이제 대기나 환경 문제는 먹고사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며 “시민들도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저공해장치 부착, 대중교통 이용, 승용차 요일제 등의 실천에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