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19구조대와 비상연락망과 출동체계를 구축하는 등 야생멧돼지 특별관리대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멧돼지가 출현했던 지역과 출현 가능성이 많은 아차산, 동구릉, 북한산, 불암산을 중점관리대상지역으로 정하고, 이동통로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하는 등 이동경로를 분석한다. 또 체계적인 서식지 복원 방안을 마련하고, 필요하면 멧돼지 먹이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수도권은 군사보호 구역 등으로 수렵장을 개설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멧돼지 서식밀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가 수도권 지역의 야생멧돼지 서식밀도 조사를 벌인 결과, 전국 평균보다 2배 이상의 멧돼지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수도권 지역은 100ha당 평균 7.5마리로 2005년 전국 평균 밀도 3.7마리보다 높았다. 특히 조사지역 중 포천 불무산과 양주 감악산은 19.8마리로 서식밀도가 가장 높았다. 서울에 인접한 아차산, 동구릉, 북한산, 불암산 등 4개 지역에서도 멧돼지 서식이 확인됐고, 북한산 송추지구, 서울 아차산도 9.9마리로 서식밀도가 높은 편이다. 이렇게 서식밀도가 늘어난 멧돼지는 먹이 다툼이나 영역에서 밀리거나, 농가에서 키우는 개, 등산객 등에 놀라서 이동경로를 이탈해 도심에 출몰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해마다 멧돼지 서식실태를 조사하고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