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올해부터 환경오염이 어린이 등 민감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본격 조사해 체계적인 대책을 수립키로 했다. '환경이 나빠지면 각종 질병이 늘어난다'는 게 상식이 됐지만 실제로 환경과 질병과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는 많지 않다. 연관성에 대한 분석이 미약하다보니 대책 마련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에 환경부는 올해를 ‘환경보건 원년’으로 선언하고 어린이와 산모, 폐광ㆍ산업단지 거주자 등 환경오염 민감계층에 대한 대대적인 건강영향평가에 착수한다. 환경부는 13일 ‘2006년 주요 업무계획’을 밝히면서 지역별ㆍ계층별 환경성 질환 발생 실태조사를 본격 실시해 체계적인 환경성 질환 예방대책을 수립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5월부터 내년 4월까지 도시와 농촌 9개 지역의 10세 미만 어린이 2700명을 대상으로 천식, 아토피 등에 대한 건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0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어린이의 14%, 초등학교 입학 전 유아의 23%가 천식과 아토피를 앓고 있다. 환경부는 또 올해부터 2010년까지 산모와 영ㆍ유아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노출과 기형 등 출생 결함의 연관성, 생후 4~5세까지의 아토피ㆍ천식 등 질환 발생을 추적 조사한다. 임신 중 환경오염 노출이 태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 장기적 조사를 통해 밝혀낸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2008년까지 수은의 어패류 축적량을 주요 하천별로 조사한 후 임산부나 어린이의 일일 최대허용 섭취량을 권고하는 경보시스템을 개발키로 하고, 올해는 한강, 낙동강 등 4대강 권역을 중심으로 조사한다. 폐광이나 산업단지 등 취약지역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도 실시한다. 올해는 경북ㆍ강원ㆍ경남권역 6개 폐금속 광산을 대상으로 주변지역 오염도 및 지역주민의 혈ㆍ뇨 중 중금속 농도를 조사할 계획이다. 또 울산산업단지와 시화ㆍ반월산업단지에 이어 올해 광양만 권역에 대해서도 10~20년에 걸친 장기 건강영향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며, 병원이나 축산 분야의 항생제 사용현황과 주요 하천의 항생제 잔류 실태 등도 조사한다. 아울러 다음달에는 소비자단체와 공동으로 장난감 등 어린이 용품 중 유해물질 피해 사례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하반기에는 놀이터 등에 대한 화학물질 노출 실태조사와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환경부는 △수도권 배출총량제 실시 △물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마련 △각종 개발 사업에 대한 친환경적 개발지침 마련 △KTX, 지하철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 대책 마련 등을 올해의 주요 정책으로 추진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