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사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주요 환경호르몬 추정물질(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이 80%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적인 화학물질 유통량은 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는 2002년기준 전국 1만3773개 화학물질 취급업체를 대상으로 화학물질 유통량을 조사한 결과 98년 2만9283종 1억7540만t보다 63.9% 증가한 2만1513종 2억8740만t으로 집계됐다고 지난 2일 밝혔다.비스페놀A 등 환경호르몬 추정물질 5종의 유통량은 42만4000t으로 4년 전의 23만6000t에 비해 80%나 늘어났다.특히 플라스틱 가소제로 쓰이는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가 98년 14만4000t에서 2002년에는 27만2000t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벤젠, 염화비닐, 산화에틸렌 등 10종의 발암물질 유통량도 1220만t으로 98년 1170만t에 비해 4.3% 증가했다.환경부 관계자는 “이처럼 화학물질 유통량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수입량이 98년 4220만t에서 1억2200만t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98년 화학물질 수입량 중 석유 수입량이 일부 누락된 데다 2002년의 경우 3000여개 수입업체의 수입량이 새로 통계에 잡혔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