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분비계 장애 DEHA검출, 美·日선 환경호르몬 분류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은 음식점과 대형할인점, 유통업체 식품매장 등에서 쓰이는 업소용 식품포장 랩 6종을 수거해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한 결과 1종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에서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인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DEHA)가 검출됐다고 지난 14일 밝혔다.검출된 DEHA의 양은 중량기준 23.7∼25.9%로 제품별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DEHA는 주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염화비닐(PVC) 재질의 비닐랩을 부드럽게 만드는 가소제로 첨가되는 물질이다.이 물질의 인체 유해성 여부에 관해서는 아직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나 세계야생생물보호기금(WWF), 일본 후생성, 미국 환경청(EPA) 등이 환경호르몬 혹은 이에 준하는 추정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를 내분비계장애 물질 관찰대상으로 분류해 환경잔류실태와 생태영향 조사 대상으로 삼고 있다.DEHA가 검출된 업소용 랩은 S사의 S랩, T사의 U랩, S사 제조·C사 유통판매의 I랩, H사제조·L사 공급판매의 L랩, P사의 P랩이다. L사의 L랩은 유일하게 DEHA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정용 랩 제품은 가소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폴리에틸렌(PE)을 주재료로 쓰고 있으나 PVC가 사용되는 업소용 랩은 여전히 가소제를 사용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