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개발연구원(원장 이수희)에서는 충북의 경관형성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9월25일 청주 라마다호텔에서 “창조적인 충북 경관형성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일본, 중국, 싱가폴, 인도네시아 등 국외발표자들이 참가하는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외국의 경관정책 및 경관계획사례 등을 소개하며, 이에 대한 국내 전문가들의 종합 토론 등 충북에 창조적이고 매력적인 경관을 형성하기 위한 좋은 아이디어들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국제심포지엄에서는 충북의 지역 여건과 유사한 아시아를 중심으로 발제되며, 내용 역시, 이론적인 것보다는 실무와 행정의 경험을 위주로 하여, 국내·외의 경험을 공유하고 경관형성에서 논의되는 각종 이론적 논의들을 실천전략으로 적용한 실질적인 전략들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일본 구마모토현의 미나카미 건축과장은 국내에서도 널리 알려진 구마모토 아트폴리스의 그동안의 경험과 최근 진행되고 있는 시민참가형 경관형성 사례를 보여준다. 이는 시.군과 같은 기초지자체가 아닌 도차원에서 접근한 경관형성모델로서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 중국 후안 도시설계 연구소의 시다리안 소장은 최근 중국의 신도시에서 보여지는 경관설계 사례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매력적이고 다이나믹한 도시경관을 형성하기 위한 도입한 디자인 전략으로서, 구체적으로 자연경관, 전통경관, 건축계획, 색채계획, 공원계획, 공공예술계획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소개한다.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을 비롯한 각종 신도시 개발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충북지역에, 신도시에서의 경관형성전략에 대한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싱가폴대학의 리민 히 건축학과 교수는 싱가폴에서의 도시계획 및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발제한다. 도시국가인 싱가폴에서는 기성시가지에 대한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를 통해 새로운 도시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컨벤션센터로서의 싱가폴, 그리고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싱가폴 경관형성전략은 경관을 활용하여 지역 경제와 접목시킨 싱가폴의 도시마케팅 전략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리포가라와치의 고든벤튼 이사는 국내의 영종도 경제자유구역 중 운북지구에 대한 도시설계를 직접 담당한 사례를 발제한다. 최근, 국내 개발현장에 외국전문가가 설계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해외의 도시설계 아이디어를 국내에 접목시킨 실질적인 모델 중 하나이다. 한편, 국내 발제자로 나서는 충북개발연구원의 변혜선 박사는 도농통합시에 대한 경관관리 및 경관형성 방향에 대해 발제한다. 충북의 경우, 도시경관과 농촌경관, 자연경관이 함께 공존하는 복합경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연경관의 보존과 도시경관의 관리 및 형성이 함께 실천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5편의 주제발표 후, 종합토론에서는 도시설계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수렴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심포지엄을 주관.주최하는 충북개발연구원은 충청북도경관기본계획 및 충주경관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현재 청주시와 청원군의 경관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관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이번 국제심포지엄이 실질적으로 충북의 창조적인 경관형성과정에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천의 접목에 주목, 준비해 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