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은 급증하는 취약계층 대상 집단급식 시설의 체계적인 관리와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지난 24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교육인적자원부, 농림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등 관계부처와 16개 시.도 및 민간단체 등 34개 기관으로 구성된「범정부 식중독 종합대응협의체」회의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금번 회의에서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결식아동 및 장애인 시설 등 취약계층 대상 사회복지시설의 급식 실태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일제 조사하고, 소규모 급식시설의 위생 관리 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50인 이상 급식시설의 적정 관리 여부를 점검하여 시설별로 특성에 적합한 위생관리매뉴얼 등을 마련하여 배포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식중독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과 확산 방지를 위하여 시설별.원인별.유형별 관리 대책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위생취약시설에 대한 지도.점검과 종사자 교육을 강화하고, 식품용수 등에 대한 노로바이러스 검사 관리 체계 구축, 대국민 식중독 예방 홍보 및 손 씻기 운동 확대 실시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식약청은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에 대비하여 11월에는 동 협의체를 「겨울철 식중독 전담대응 체계」로 전환하여 운영한다고 밝혔다. □ 주요 추진 내용은 ○ 향후 관리 체계를 사전 예방 관리 체계로 전환하고, 사고 신속 대응과 확산 방지 대책에 주력하며, ○ 취약계층 및 위생취약시설에 대한 지도.점검과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 야채류 등 식품 중 노로바이러스 검사법을 지속 개발하고, 노로바이러스 오염원 차단을 위한 검사관리 체계를 구축하며, ○ 식중독 원인 규명율을 높이기 위한 신속 검사 또는 조기 판별법 등을 개발하고, ○ 안전한 식재료를 선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식재료 검수 및 관리 표준위생매뉴얼을 개발함과 동시에 관련 종사자 등에 대한 교육.훈련과 대국민 식중독 예방 홍보 및 손 씻기 운동을 확대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식약청은 앞으로도 효율적인 식중독 예방을 위해 관계 부처와 시·도 등과 유기적인 공조 체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식중독 예방 관리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최근 어패류 등을 취급하는 장소에서의 식중독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어패류 등의 섭취시 각별한 주의를 강조하고, 특히 회 등 날 것으로 섭취하는 수산물을 취급하는 업소에서는 칼.도마.행주 등 조리기구의 구분 사용과 깨끗한 물로 자주 세척과 소독을 실시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자료제공:식품의약품안정청 식중독예방관리T/F팀]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