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중·소도시 고교 평준화 자율 선택 방침에 따라 광명, 안산, 의정부시 등 수도권 고교 비평준화지역 학부모단체와 시민단체들이 고교 평준화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에는 수원, 성남, 부천, 고양, 안양권(안양·과천·군포·의왕) 등 5개권역이 고교 평준화를 실시하고 있으며, 비평준화지역은 학교별로 학생을 모집하고 있다.
고교 비평준화 지역인 광명에서는 지난달 14일 광명교육연대, 전교조 광명지회, 광명 경실련, 광명 YMCA 등 7개 학부모·교사·시민단체가 모임을 갖고 ‘광명 고교평준화를 위한 시민연대’를 구성했다. 이들은 6일 시민간담회를 열고 여론을 수렴한 뒤 설문조사와 서명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광명교육연대 관계자는 “광명지역은 학교 서열화로 명문고에 들어가기 위해 고액 과외등이 성행하는 등 부작용이 심해 평준화 도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의정부에서는 시민단체들이 도교육단체연합회를 통해 학부모 공청회와 서명 등을 벌일 계획이다.
안산지역도 올 고교 입시에서 인근지역 학생들이 대거 몰리면서 탈락자가 700여명이 넘어 안산 출신 수험생 학부모들이 반발하는 등 평준화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지역별로 고교평준화 건의가 접수되면 교육개발원 등의 기관에 의뢰, 평준화 도입 타당성을 검토한 뒤 적용여부를 결정하겠다”며 “새로운 지역에 평준화를 적용하려면 2~3년의 검토기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