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케이팝 데몬 헌터스' 주인공들이 허리춤에 찬 노리개, 나눠 가진 팔찌, 인기 K-팝 걸그룹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장신구까지.
모두 우리 전통 매듭이 사용됐다.
최근 세계가 주목하며 인기 상품이 됐다.
한 해외 유명 브랜드는 한국 매듭 장인과 협업 제품까지 내놨는데, 이게 중국 누리꾼들의 표적이 됐다.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쳤다"며 집단 항의가 이어졌고, 제품 홍보 게시물은 결국 삭제됐다.
억지 주장의 근거는 뭘까?
한 중국 언론의 보도다.
'한국 정부가 매듭이 중국 것임을 인정했다'는 건데, "한국 매듭은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는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포털 게시물을 인용했다.
실제로 국가유산청은 최근까지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내용을 게시한 거로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은 '주변국과 상호 교류했다는 점을 의도한 설명'이었다면서도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이라고 인정했다.
국가유산청은 문제가 된 설명을 삭제하고, 문화유산 왜곡에 대응할 매뉴얼 개발과 전담 조직 설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