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사진=픽사베이KAIST와 한국생명존중재단은 2013~2020년 자살 사망자 유서 약 3만8000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살 유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엄마’, ‘어머니’, ‘어머님’ 등 부모를 지칭하는 표현이었다.
‘아빠’, ‘아버지’ 등도 자주 등장해 가족 관련 명사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살해 후 자살 유서에서는 ‘돈’이라는 단어가 세 번째로 많이 등장한 것이 특징이었다.
'돈'은 부채, 재산, 장례비용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됐다.
감정 분석 결과, 살해 후 자살 유서에는 ‘분노’, ‘흥분’, ‘중립’의 감정이 두드러졌다.
반면 일반 자살 유서에는 ‘사랑’, ‘배려’, ‘슬픔’ 등의 감정이 더 많았다.
살해 후 자살의 주요 원인으로는 경제적 어려움, 돌봄 부담, 자녀 건강 문제 등이 언급됐다.
피해자가 자녀인 경우는 30~40대 부모, 부모가 피해자인 경우는 50대 이상 자녀가 많았다.
연구진은 가족 갈등 완화, 심리 상담 접근성 개선 등 다각적인 예방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