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아침 한 끼가 만든 활기찬 등굣길… 제주서중 ‘든든한 아침, 활기찬 하루!’ 캠페인 성료
21일 아침, 제주서중학교 교문 앞은 특별한 온기로 가득했다. 이른 등굣길을 나선 학생들에게 밝은 미소와 함께 백설기와 식혜가 전해지며 학교 주변은 어느 때보다 활력이 넘쳤다. 농협 제주본부와 (사)참사랑실천학부모회가 함께한 ‘든든한 아침, 활기찬 하루!’ 등굣길 응원 캠페인이 올해 마지막 행사로 진행된 것이다. 이번 캠페...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국립서울현충원의 임시정부 요인 묘역.
광복군 총사령관을 지낸 지청천 장군의 묘를 비롯해, 묘 곳곳에 놓인 형형색색 꽃은 모두 플라스틱 조화다.
서울 현충원이 구매하는 조화 10개 가운데 9개는 플라스틱 제품.
이 때문에 서울 현충원에서만 매년 100톤 이상의 플라스틱 폐조화가 나온다.
전국 국립묘지로 넓혀 보면 2020년 이후 최근까지 천 톤 넘는 플라스틱 폐조화가 쏟아졌다.
플라스틱 폐조화는 재활용이 어려워 통상 매립이나 소각 처리되는데, 이 과정에서 토양을 오염시키거나 온실가스 배출을 늘린다.
야외에 3개월 이상 방치된 플라스틱 조화는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을 뿜어내고, 시간이 지날수록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배출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공원묘지에서 플라스틱 조화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지난해 국회에서 발의됐지만, 아직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