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전통 설화, 무용으로 다시 태어나다
[뉴스21일간=임정훈]울산을 대표하는 전통 설화 ‘처용’이 현대무용으로 재탄생한다.
박선영무용단은 오는 11월 7일(금) 오후 7시 30분과 8일(토) 오후 5시, 양일간 울산 꽃바위문화관 3층 공연장에서 창작무용 ‘처용소리 어울림’을 무대에 올린다.이번 공연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2025 공연예술 지역 유통지원 사업에 선정된 작품으로, 전...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앞서 미국과 유럽연합은 지난달 21일 유럽산 자동차와 부품 관세를 15%로 낮추는 무역 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조건이 달렸다.
EU는 미국산 공산품 관세 철폐와 일부 농·수산물에 대한 시장 접근 확대를 위한 입법안을 마련해야 했다.
이에 따라 EU는 지난달 말 입법안 초안을 발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행정명령을 통해 관세 조정을 약속했다.
이에 따른 후속 조치가 나온 것이다.
관세 조정에는 자동차 외 품목도 포함됐다.
항공기 부품과 일부 의약품 성분 등이, 면제 또는 인하 대상에 올랐고 일부는 지난 1일부터 이미 적용되고 있다.
관보 게재와 함께, 시장의 불확실성이 줄면서 벤츠와 BMW 등 유럽산 자동차 제조업체의 주식도 동반 상승했다.
앞서 일본 역시 미국과 협상을 마무리하며 15% 관세율을 확정한 상태다.
지난 7월, 미국과 한국은 자동차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방안에는 합의했지만, 대미 투자 방식 등을 놓고 후속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25% 관세율이 유지되고 있다.
한국 차는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커 단기 충격은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나오지만 한국 생산 차량과 부품이 가격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