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의 인공지능, AI 성능을 부풀린 광고로 의심되는 사례가 줄줄이 적발
제품의 인공지능, AI 성능을 부풀린 광고로 의심되는 사례가 줄줄이 적발됐다.정부는 AI 성능을 과장해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는 광고를 줄이기 위해,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했다.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오늘(7일) 'AI 워싱' 행위에 대한 의심 사례 모니터링과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실제로 공정위와 소비자원이 ...
동구 안전보안관, 심폐소생술 교육 체험 및 화재예방 캠페인 실시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구청장 김종훈)는 동구 안전보안관(대표 고이곤)과 함께 11월 6일 오전 10시 전하2동 행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동구생활안전체험센터의 ‘찾아가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체험하고 동울산종합시장 일원에서 동절기 대비 화재예방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동구는 동절기 급성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윤석열 정부 당시 집행 내역이 투명하지 않다며 민주당 주도로 전액 삭감됐던 대통령실 특활비, 지난 2차 추경에서 41억여 원이 부활했다.
대통령실은 어제 오후 홈페이지를 통해 특활비 등 주요 운영 경비에 대한 집행 정보를 공개했다.
역대 정부 최초다.
특활비는 6월~8월 사이 4억 6,422만 원이 사용됐는데, 외교·안보·정책 네트워크 구축 관리 등에 1억 5,802만 원이, 민심·여론 청취 등에 9,845만 원 등이 사용됐다.
같은 기간 업무추진비는 9억 7,838만 원, 특정업무경비는 1,914만 원이 집행됐다.
특활비는 그동안 깜깜이 비용으로 불리며 여러 의혹이 제기돼 왔는데, 지난 6월 대법원은 대통령실 특활비는 공개 대상이라고 판단했다.
시민단체 등이 윤 정부를 상대로 특활비를 공개하라고 낸 소송에서 원고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대통령실은 "법원 판결을 존중하고 세금을 올바르게 집행하고 있다는 걸 밝히기 위해 공개했다"며 "알권리를 확대하는 중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대통령실은 국가안전보장 등 고도의 기밀을 다루는 업무 특수성을 고려해 일부는 비공개 처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