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이번 열병식을 통해 내놓은 가장 큰 메시지는 “미국의 압박에 대응해 우리도 뭉칠 수 있다”는 대내외적 결속 과시였다.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군사력과 체제의 자신감을 선명히 드러내면서도 지나친 강경 제스처로 서방을 불필요하게 자극하지는 않는 선에서 톤 조절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행사 직후 중국은 주요국과의 양자 정상회담을 이어가며 외교 무대를 확장했다. 그러나 당초 기대됐던 중·러·북 3국 정상회담은 열리지 않았다. 이는 중국이 안보·경제 연대를 강화하면서도, 다자 차원의 군사 블록화로 비칠 수 있는 부담은 피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태도도 주목됐다. 국제사회에서는 북한이 안보는 러시아, 경제는 중국에 의존하는 ‘안러경중(安俄經中)’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북 제재와 경제난 속에서 북한이 양국에 각각 다른 기대를 걸며 생존 전략을 구사하는 모습이라는 분석이다.
이번 열병식은 중국이 내부 결속과 주변국 연대를 동시에 모색하는 자리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만 미국과 서방의 견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향후 중국이 어느 수준에서 ‘강경함’과 ‘균형’을 유지할지가 향후 외교 전략의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