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같은 무더위에 냉방시설이 잘 갖춰진 경로당은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다.
냉방비용이 부담스러운 에너지 취약층일수록 이런 무더위쉼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무더위쉼터를 이용하고 싶어도 찾아가기는 쉽지 않다.
산지가 많아 교통이 불편한 강원도의 경우, 무더위쉼터가 집에서 500m 이상 떨어져 있는 에너지 취약층이 만여 세대에 이른다.
도내 전체 에너지 취약층의 4분의 1가량이다.
게다가 전국 시군구 가운데 절반 이상은 무더위쉼터 수용 인원이 에너지 취약층 숫자에 못 미친다.
쉼터를 찾아가도 자리가 없을 때가 많다 보니 아예 발길을 끊는 경우도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열대야가 빈번해지고 있지만, 저녁이면 문을 닫는 경로당 위주로 무더위 쉼터가 지정된 것도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