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 사진 속 이 소녀는 1939년 조직된 항일 결사, '조선학생동지회'에서 활동한 고완남 지사다.
조직책으로 활동하다 일제에 발각돼 모진 고문까지 당했지만, 오랜 기간 알려지지 않았다.
판결문 등의 기록이 없었기 때문이다.
함께 활동했던 동지의 회고록을 통해 5년 전에야 고 지사의 독립운동 행적이 확인됐다.
일본 외무성 기록과 판결문, 일제의 감시 대상 인물 카드 곳곳에도 독립을 위해 싸웠던 선조들의 흔적이 남아 있다.
옛 문서들을 일일이 찾아내 확인하고 다른 사료와 교차 비교하는 고된 작업 끝에 이들의 희생을 기억할 수 있게 됐다.
이렇게 지금까지 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가 찾아낸 독립유공자는 모두 5천2백여 명.
이 가운데 정부는 10% 정도만 공식 인정하고 있다.
서울시도 연구소와 함께 내년 8월까지 잊혀진 독립유공자 500명에 대해 서훈을 추진할 예정이다.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한 선조들의 헌신을 민관이 함께 역사에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