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세상은 막대한 자본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 국내 기업들이 이번 K-AI 사업에 사활을 건 것도 K-AI로 선정된다면 데이터나 GPU 등 인프라를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화영 LG 연구원 이사는 "자사에서 데이터나 인재는 보유하고 있지만 정책적 지원,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번에 선정돼 정부에서 지원받는다면 AI 모델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 등은 데이터를 꼽았습니다. 김성훈 업스테이 대표는 "(선정된다면) 정부 주도형으로 좀 더 좋은 질의 데이터를 얻어올 수 있고 스타트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많은 지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형주 코난테크놀로지 이사도 "중소기업이다 보니 학습 데이터를 모으는 것이 취약하고 GPU 장비 등이 많아지면 학습 시간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최병호 고려대 AI 연구소 교수는 "국내 기업의 AI 기술 수준은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서 좀 떨어지는 편"이지만 "경쟁력 있는 AI 서비스가 승부처가 된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AI 산업을 반도체에 비유하며 "국내에서 반도체를 만들지만 수출용이지 않냐"며 "어떤 분야에 최적화된 해결책을 줄 수 있는 AI 서비스가 무엇이냐, 수출용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