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할 수 있을까.
정부가 내부적으로 검토한 결과, 초청 자체는 가능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의장국 주도로 비회원국을 초청해서 '비공식 대화'를 개최하는 관례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까지, 북한 초청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정부는 밝혔다.
대통령실은 APEC은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면서도, 현재 논의 중인 사항은 없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올해 비회원국 초청은 APEC의 기본 취지, 올해 주제와의 연관성 등 여러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검토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초청을 위해선 APEC 회원국들의 동의가 필요한데, 북한에 대한 국제 제재 상황, 우크라이나 전쟁 참가 등을 감안하면 쉽지 않을 거란 분석이 우세하다.
북한이 호응할지도 미지수다.
김 위원장은 주변국의 여러 차례 초청에도 지금까지 다자 외교 무대에 모습을 드러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폐쇄적인 정치체제 특성과 경호와 의전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APEC을 한반도 평화를 위한 모멘텀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넘어야 할 제약도 많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