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픽사베이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는 가운데, 상당수 지자체가 민간 소각장에 의존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환경운동연합이 수도권 지자체로부터 받은 정보공개 청구 결과를 보면,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민간 소각장 이용을 검토하는 자치구는 17곳이었고, 별다른 계획을 마련하지 않은 자치구도 3곳이나 됐다.
또, 경기도는 31개 지자체 중 18곳이 민간 소각장을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10개 지자체 중 공공 소각 용량을 확보한 곳은 2곳에 그쳤고, 민간 소각장을 활용하겠다는 지자체가 6곳, 나머지 2곳은 뚜렷한 계획이 없었다.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 폐기물을 땅에 바로 묻으면 안 되고, 묻을 경우 소각 작업을 거쳐야 한다.
환경련은 “민간 위탁은 장기적으로 비용 증가와 시장 변동에 따른 불안정성을 초래한다”면서 “공공 인프라 확충과 근본적인 감량·재사용·재활용 시스템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