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대출 가능액이 준 아파트, 전체 4채 중 3채꼴로 추정된다.
지역별로는 서울 25개 구 중 18개 구가 영향권이었다.
속칭 '불장'이었던 서울 집값을 일단 누르며 시간을 번 거로 보이지만, 집값 급등의 또 다른 축인 공급 부족은 구체적 대책이 없다.
수도권의 입주 물량은 올해 14만에서 내년 10만 가구, 서울은 2만 가구대로 줄 전망이다.
서울 안이나 서울과 딱 붙은 '직주 근접' 지역에 공급이 늘지 않으면, 급등 불씨가 살아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최근 국정기획위원회가 신도시가 아닌 다른 방식의 공급 확충을 주문하면서, 정부도 공급 대책 짜기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다만, 주무 부처인 국토부 장관은 어제 인선에서도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