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인 찹쌀을 숙성하는데만 20일, 발효과정에서 생긴 냄새를 빼는데만 사나흘을 기다린다.
불린 찹쌀을 곱게 갈아, 콩물 반죽을 만들고, 3시간을 쪄 내 감자 전분 위에 얇게 펴 말려 또다시 숙성시킨다.
이걸 거쳐야 반죽이 일정한 공기와 수분을 머금어 더 부드러운 과줄이 되는 것이다.
1970년대 산업화 이후 제조 과정은 기계로 일부 대체했지만, 발효 방식은 전통 그대로 유지한다.
특히, 이 갈골 과줄은 굵은 모래에 튀겨내는 방식을 썼었다.
모래의 높은 비열을 활용한 독특한 제조법이다.
지금은 식품위생법 때문에 기록으로만 남아있다.
다만, 독특한 발효법 등 고유한 제조방식을 인정 받아 2013년 강원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됐다.
해마다 강릉 단오제 제례상에도 강릉갈골과줄이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