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해상 전력을 보강해 ‘제2격’, 상대편의 선제 핵공격을 받은 뒤 하는 보복 핵공격 능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분석했다.
WSJ는 현지 시각 24일자 지면에 실은 ‘김정은, 북한군 현대화를 재촉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사흘 전 발생한 구축함 진수 실패 사고를 소개하면서 이런 분석을 내놨다.
북한은 지난 21일 청진조선소에서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새로 건조한 5천t급 구축함 진수식을 열었으나 함정을 제대로 물에 띄우지 못하고 크게 파손시켰습니다. 이 구축함은 현재 바다에 기울어져 있다.
WSJ는 한국군 평가를 인용해 북한 해군의 외형상 규모가 병력 6만명, 전함 420척, 잠수함 70척에 이르지만 실제로는 해안 경비대나 마찬가지라고 소개했다. 북한 해군 전력은 함정이 노후하고 무기 시스템도 구식이어서 먼 바다에서 작전할 능력은 제한돼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달 25일 남포조선소에서 5천t급 신형 다목적 구축함 ‘최현’호를 진수했으며, 이번에 진수에 실패한 구축함도 이와 동급으로 추정된다. 이 구축함들의 길이는 약 144m로, 세계에서 가장 큰 전함 중 하나인 미국 해군의 ‘USS 제럴드 R. 포드’의 절반 수준이다.
북한은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탄(ICBM)과 핵무기를 보유하는 등 지상 기반 공격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런 능력을 보충하기 위해 해군 전력을 증강함으로써 ‘제2격’ 능력을 확보하려 한다고 WSJ는 설명했다.